전체 글
-
[Nestjs]PatialType이란Nest.js 2022. 12. 21. 23:32
POST, UPDATE 요청을 처리할 때 데이터 삽입에 대한 DTO, 데이터 수정에 대한 DTO를 만든다. 일반적으로 데이터 수정 DTO는 삽입 시의 DTO에 종속된다. 수정시의 DTO에 들어가는 개체가 삽입시의 DTO에 들어있는 개체에 포함된다는 것이다. 그런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PartialType다. POST 처리를 위한 DTO가 CreateDto라고 가정하면, import { IsNumber, IsOptional, IsString } from 'class-validator'; export class CreateDto { @IsString() readonly title: string; @IsNumber() readonly year: number; @IsString({ each: true ..
-
기획서카테고리 없음 2022. 12. 20. 21:03
https://minery.tistory.com/8 [기능명세서]사이드프로젝트에서 개발자랑 안싸우는 앱기획하기!(+메뉴트리) 안녕하세요!! 마이너리 기획자 염희입니다 😆 _ 오늘은 마이너리 앱 디자인이 결정되기까지의 다사다난했던 화면구성부터 디자인까지의 과정을 남겨보려고 해요! 재밌게 읽어주시고 마이너리 minery.tistory.com https://miro.com/ko/ https://m.youtube.com/watch?v=6WKod1yDa2M&t=350s&pp=2AHeApACAQ%3D%3D https://m.youtube.com/watch?v=uglKTcoK26c
-
Nestjs에 swagger 적용Nest.js 2022. 12. 8. 20:53
npm install --save @nestjs/swagger swagger-ui-express [ src/swagger.document.ts ] import { DocumentBuilder } from '@nestjs/swagger'; export class BaseAPIDocument { public builder = new DocumentBuilder(); public initializeOptions() { return this.builder .setTitle('Swagger Example') .setDescription('Swagger API doc') .setVersion('1.0.0') .addTag('swagger') .build(); } } [ src/main.ts ] import { Ne..
-
vscode nvm으로 프로젝트마다 버전관리카테고리 없음 2022. 12. 3. 23:34
nvm을 설치 하여도 새로운 터미널을 킬때마다 nvm use 버전 을 입력 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.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voscde의 extension인 vsc-nvm을 설치하고 .nvmrc 파일을 만들고 거기 안에 해당 node 버전을 넣어주면 새로운 터미널을 열어도 원하는 node 버전으로 사용 가능!!! 개발의 질이 높아졌다!!! vsc-nvm extension을 설치 하지 않으면 nvm use 명령어를 내부 새 터미널을 열때마다 입력 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음. vsc-nvm extension이 새 터미널을 열면 자동으로 nvm use 명령어를 처음부터 입력해줌
-
맥북 프로 m1 Ventura 업데이트 후 git 오류카테고리 없음 2022. 11. 22. 18:57
xcrun: error: invalid active developer path (/Library/Developer/CommandLineTools), missing xcrun at: /Library/Developer/CommandLineTools/usr/bin/xcrun xcode-select 명령으로 CommandLineTools(command line developer tools)를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 xcode-select --install 해결완료!